본문 바로가기

티스토리챌린지

속도와 방향 속도와 방향둘중에 하나를 우선해야한다면 방향이다. 하지만 방향을 정하면그 다음엔 속도가 따라붙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방향이 흔들리거나 잃게 된다. 방향을 잡았던 그때와 지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방향을 점검하는 주기를 속도라고 하면방향과 속도는 주거니 받거니 서로 영향을 준다. 그렇지만 둘 중 무웃을 먼저? 라고 물으면조급할수록(속도가 등떠미는 때)방향을 한번 더 떠올리자.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들지 않는다. 그리고 생각보다 많은 시간이 들더라도충분한 가치가 있다. 더보기
낯설다는 것 낯설다는 것은 두려움이다. 예측되지 읺고 미지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야도 좁아진다. 낯설다는 것은 춥다. 온기보다 쌀쌀함이다. 그래서 경직되고 굳는다. 낯설다는 것은 그리움이다. 익숙했던 것들에 대한 그리움온기. 냄새. 미소. 더보기
10배의 법칙 10페이지 읽고 갖게 된 첫 인상멋진 책! 두근두근 설렘이 있는 책 두고 두고 읽어보려고 모아둔 문장들괄호는 나의 주석성공, 성취, 성장 그 어떤 단어로 바꾸어도 달라지지 않는다.내가 원하는 목표와 달성하고자하는 그 정도에 도달하는 것. 그것을 해내는 것. 얻는 것. 맛보는 것.성공이란 '당신이 원하는 목표나 목적의 달성 정도 또는 크기'다성공은 사명이다. 생존하기 위한 원하는 성공의 크기를 제한하기 시작하면 성공을 이루기 위해 당신이 해야할 일을 제한하게 된다. 1. 잘못된 목표 : 충분한 동기를 부여하지 않거나 너무 낮은 목표를 세운다.2. 목표달성에 필요한 행동, 자원, 돈, 에너지를 심각하게 과소평가한다. (우리는 특별하지 않다)3. 경쟁하는데 시간을 쓰느라  '지배'하는 데 너무 적은 시간을 쓴.. 더보기
먼 후일 먼 후일 김소월 먼 훗날 당신이 찾으시면 그때에 내 말이 `잊었노라' 당신이 속으로 나무라면 `무척 그리다가 잊었노라' 그래도 당신이 나무라면 `믿기지 않아서 잊었노라' 오늘도 어제도 아니 잊고 먼 훗날 그때에 `잊었노라' 지하철을 안전문에 시 가 있다. 지하철을 보내고 멍하니 의자에 앉아 글귀를 읽다가 갑자기 짜증이 났다. 명화 명작을 만났을 때 내가 만나는 감정은 짜증이었던 것 같다. 왜일까? 명쾌하게 끝맺고 싶은데 자꾸 떠오르고 자꾸 이리저리 굴려보게 되고 또 그 미묘하고 애매한 감정이 느껴지면 짜증이 나는 것이다. 내 것도 아닌 이미 떠난 사람을 못 끊어내고 혼자 끙끙되는 시 속의 누군가의 상황이 화가 나는 것이다. 뭔가 세월 앞에 부질없는 감정 같으면서도 당장 이 감정이 나를 지배하는 것에서 헤.. 더보기
기브앤 테이크 ’기브앤 테이크‘라는 단어는 ‘눈에는 눈 이에는 이’와 동의어로 들린다. 그래서 내게는 정이 없는 단어다. 이타주의. 개인주의. 이기주의 개념을 배우고 이기주의는 되지 말아야지라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사회생활을 하면서 이타주의는 바보가 되고 이기주의는 대놓고 하진 않아서 개인주의와 모호할 때가 많았다. 가치기준에 따라 교묘하기까지 했다. 한바탕 폭풍이 몰아치고 나의 이타도 아닌 개인도 아닌 이기도 아닌 이 모든 것이 한데 뒹굴며 나는 진흙탕에 뒹굴게 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는 이유는 자꾸 다른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 책에서 하고자 하는 이야기는 초연결시대에 기버가 유리할 수 있는 이유와 사례에 대하여 말해준다. 아직 중반이라 예외 사례까지 풍부하게 접하지 못한 까닭에 감.. 더보기
껍질도 잘 까지는 계란 삶는 방법 쉬워요!이렇게만 하세요!그런데 왜!나는 그게 잘 안될까?반숙은 6~8분완숙은 10~12분그런데 저 시간은 언제부터 시작해서 저 시간이라고 하는 것일까?왜 계란 껍데기는 어떨 땐 잘 까지고 어떨 땐 안 그러는가?식초도 넣어보고 찬물에도 담가보고그런데 왜 일정한 패턴이 안 나오는가?최근에 짝꿍이 옥동자님의 유튜브를 보고 해 보더니드디어 알았다고 전수해 줬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계란 투하그리고 시간을 잰다. 좋아하는 정도에 따라 시간 조절. 단, 냉장고에서 바로 꺼내면 온도 차로 껍질이 깨질 수 있다. 넣다가 뜨거워서 놓치면 깨뜨릴 수 있다. 국자나 망이나 도구의 도움을 받아도 된다. 계란 온도에 따라 미세한 시간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어깨 너머 배우는 것이 이렇게 크다는 걸 시간이 갈수록 새삼 느낀다.할.. 더보기